연재 순서
① 생중계 인터뷰서 일본식 용어… 콩글리시 용어도 여전히 사용
② 핸들링, 파넨카킥, 미들슛은 모두 틀린말? (축구·농구 편)
③ 후덕과 뒤펜스가 탁구용어? '용병' 써야하나(일반 종목 편)
④ 톱타자는 1번 타자일까? 최고의 타자일까?(야구 편 1/2)
⑤ 야구는 미국 스포츠, 그럼 영어만 써야할까?(야구 편 2/2)

[스포츠한국 이재호 기자] 언어는 한 나라의 의식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다. 동시에 국가와 민족의 유구한 전통과 문화를 엿볼 수 있는 거울이기도 하다. 부끄럽게도 2018년 국내 스포츠 현장에서는 여전히 출처불명의 용어들이 무시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일본식 혹은 콩글리시 용어들이 마치 표준어처럼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올바른 스포츠 용어 정착은 곧 스포츠의 대중화, 세계화와도 연결돼있다. 스포츠한국은 캠페인을 통해 올바른 스포츠 용어 문화 조성의 첫 걸음을 마련하고자 한다. / 편집자 주

ⓒAFPBBNews = News1
▶탁구에서 ‘후덕’이란? 웃지 못 할 용어 사례

탁구계에서 올바른 탁구 용어 정착을 위해 노력한 전문가로 알려진 박도천 아시아탁구연맹 경기위원장은 일화 하나를 소개하며 혀를 찼다.

지방에서 올라온 한 선수가 ‘넌 후덕이 안좋아’라며 후배들을 지도했다. 박 위원장이 그게 무슨 말인가 싶어 물어봤더니 ‘풋 워크(Foot Walk)’를 말하는 것이었다.

왜 ‘후덕’이냐는 물음이 이 선수는 지도자가 ‘후덕’이라고 말해 일지에 그렇게 적어 외웠고 그 이후 계속 그렇게 써왔다는 것이다. 지도자조차 제대로 영어에 대한 이해 없이 발음한 것. ‘풋 워크’를 빨리 발음하고 사투리까지 섞이다보니 ‘후덕’이 된 황당 사례다.

또한 박 위원장이 한일은행 감독시절 선수들이 훈련일지에 ‘뒤펜스가 중요’라고 쓰는 것을 보고 이게 뭔 말인가 했더니 ‘디펜스(Defence)’, 수비를 말하는 것이었다. 선수들은 뒤를 막는 것이라 생각하고 뒤펜스라고 쓴 것이다.

이처럼 탁구계, 스포츠계에도 올바른 용어 정착이 되어있지 않다보니 선수들과 지도자부터 자신들만의 용어로 굳어져 쓰고 있는 예가 비일비재하다.

박 위원장은 “영어에 대한 이해 없이 용어를 쓰니 이런 식의 문제가 생긴다. 영어도 잘 모르면서 강하게 치는 행위를 어떻게 탁구에서는 스매싱이라고 하는데 배구에서는 스파이크라고 하는지 이해해야한다. 영어라도 같은 단어 속에서도 여러 의미가 있기에 정확한 이해해야한다. 일본말로 어용된 것은 반드시 청산하고 없애야 한다”라고 지적한다. 영어를 올바르게 알아야 외국에서 들여온 종목별 용어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실제로 야구, 탁구에서는 심판을 엄파이어(Umpire)라고 부르지만 테니스 혹은 축구 등에서는 레프리(Referee)라고 부른다.

반면 탁구에서는 레프리가 ‘심판장’을 뜻한다. 차이는 있지만 엄파이어의 경우 경기장 안에 들어가 있지 않은 심판 혹은 제 3자의 의미를 주지만 레프리의 경우 경기장 안에서 판단하거나 확실히 결정내리는 사람으로써의 의미가 있다. 물론 종목별로 정착된 사례가 다르기에 종목별 특성을 함께 고려해야한다.

ⓒAFPBBNews = News1
▶테니스에도 일본식 잔재…영어식 존중? 우리말로 순화?

테니스는 들여올 당시부터 거의 국내식으로 전환된 용어가 아닌 영어식 표현을 그대로 가져와 국제화에서도 큰 문제가 없는 대표적인 스포츠로 손꼽힌다. 그럼에도 여전히 잘못된 콩글리시나 일본식 용어의 잔재가 남아있다.

테니스와 당구에서 흔히 쓰이는 ‘시네루’라는 표현이 있다. 일본어 동사 히네루(ひねり)가 한국에 들어와 정착된 말로 ‘스핀을 준 돌려치기’를 뜻한다. 전형적인 잘못된 일본식 용어다.

테니스 선수 출신의 임규태 해설위원은 “테니스에서 불규칙하게 튄 공에 대해서 ‘일레귤러(irregular) 바운드’라고 한다. 맞는 용어다. 하지만 한국식으로 바꾸면 어려운 ‘일레귤러’라는 발음보다 ‘불규칙’이라는 친숙한 용어로 바꿀 수 있다. 해설하는 입장에서는 ‘불규칙’이 맞다고 보는데 국제적으로는 ‘일레귤러’가 맞다보니 어떻게 써야하나 하고 고민한 적이 있다”면서 “이처럼 더 의미 파악이 쉽게 한국식으로 바꿀 수 있는 용어와 표현도 있는데 지나치게 일반인들에게 익숙지 않은 영어식 표현을 쓰는게 맞는지, 그렇다고 국제화 표준에 어긋나는게 옳은 것인지 정해진 규칙이 없어 해설하는 입장에서 쉽지 않다. 표준화를 시킬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야구기자 출신의 민훈기 해설위원은 “야구에서 베이스 온 볼스(Base on Balls)가 원래 볼을 네 개 얻어 출루하는 행위다. 하지만 우리식으로 볼넷으로 바꾸니 부르기도 쉽고 의미 전달도 쉽다. 이처럼 의미가 쉽게 전달되면서 원용어를 크게 해치지 않는다면 한국식으로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K리그 제주 유나이티드의 찌아고, 호벨손, 마그노. 프로축구연맹 제공
▶생각해봐야할 세리머니, 용병, 퇴출

스포츠에서 흔히 쓰이는 ‘세리머니(Ceremony)’ 역시 고민해봐야 할 단어다. 세리머니의 원의미는 ‘의식, 격식’을 뜻한다. 기쁨을 나타내는 행동을 말하려면 셀레브레이션(Celebration)이 더 옳다. 이 단어에 ‘기념하기, 축하하기’의 의미가 있기 때문.

그러나 이미 세리머니라는 표현이 고착됐기에 이제 와서 셀레브레이션 혹은 다른 한국식 표현을 쓰는 것이 옳은지에 대해서 고민되기도 한다.

또한 콩글리시 혹은 일본식 용어는 아니지만 용병과 퇴출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도 고민 해봐야한다.

외국인 선수를 의미하는 용병은 외국인 선수가 함께 뛰는 종목에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하지만 용병은 기본적으로 ‘지원한 사람에게 봉급을 주어 병력에 복무하게 하는 것’이라는 군사 용어다.이는 외국인 선수뿐만 아니라 국내 선수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말이다.

게다가 오직 외국인 선수를 봉급만 주고 따로 쓰는 이방인으로만 여기게 하는 나쁜 용어다. 차라리 외국인 선수, 혹은 외인 선수라는 쉬운 용어가 있음에도 바뀌지 않고 있는 말이기도 하다.

강을준 전 농구 감독도 "용병이라는 말 속에 차별적인 뉘앙스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바뀌어야 할 부분"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한 퇴출이라는 말 역시 어감상 굉장히 세며 그저 계약해지를 했거나 사정상 팀을 빠져나간 선수에게 쓰는 지나치게 가혹한 용어라는 주장도 있다. 특히 퇴출이라는 단어는 국내 선수보다는 외국 선수를 향해 더 쓰이기에 ‘차별’의 의미까지 있다는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단순히 콩글리시, 일본식 잘못된 표현뿐만 아니라 스포츠 용어 전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말들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