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한국 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이재호 기자]울리 슈틸리케의 ‘3전 전패’ 발언, 그리고 그가 한국에서 허비한 2년 넘는 시간은 모두 틀렸다. 자신이 지도한 한국을 무시 혹은 과소평가했고 자신이 추구한 점유율 축구는 세계 무대에서 근본적으로 통하기 힘들었다. 슈틸리케가 말하고, 추구했던 것은 틀렸다.

ⓒ대한축구협회
한국 월드컵 대표팀은 27일(이하 한국시각) 오후 11시 러시아 카잔 아레나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F조 3차전 독일과의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 김영권과 손흥민의 골로 2-0 투혼의 승리를 기록하며 월드컵 1승2패 조 3위로 마감했다.

스웨덴에 0-1, 멕시코에 1-2로 패했던 한국은 세계 1위이자 전 챔피언 독일을 상대로 패배가 예상됐음에도 끝까지 버텨내는 수비축구로 독일의 16강행을 무산시켰다. F조에서는 최종전에서 스웨덴이 3-0으로 멕시코를 이기며 스웨덴이 1위, 멕시코가 2위로 16강에 올랐다.

한국은 버티고 버텼고 독일은 다득점이 필요하자 공격수 3명을 투입하며 수비를 거의 포기하다시피 했다. 결국 후반 추가시간 코너킥 상황에서 김영권이 골을 넣었고 VAR판독으로 골이 인정됐다. 후반 추가시간 6분에는 골키퍼 마누엘 노이어가 골문을 비우고 중앙선 이상 올라왔을 때 주세종이 길게 골대 앞으로 찼고 손흥민이 달려가 끝내기 골을 넣으며 한국이 기적같은 승리를 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은 한국이 멕시코전까지 2패를 당하자 보란 듯이 독일 언론을 통해 “한국의 3전 전패는 당연하다”라며 약을 올렸다. 냉정함을 유지하는 듯 했지만 자신을 경질한 한국에 대한 악의적 감정이 섞인 발언으로 들릴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슈틸리케가 간과한 것은 자신이 지도했던 선수들이 가진 열정과 투혼이었다. 월드컵이라는 크나큰 무대에서 선수들은 독일을 이기고 1%의 기적을 실현하기 위해 그야말로 ‘죽어라’ 뛰었다. 한국 선수들은 투혼을 발휘했고 온 몸을 날려 독일의 슈팅을 막았다. 발이 안되면 몸이 먼저 나갔다. 슈틸리케 감독은 한국 선수들이 이런 근성을 가졌다는 점을 간과 혹은 몰랐던 것이다. 자신이 지도할 때는 끌어내지 못한 부분이기도 하다.

또한 슈틸리케가 가장 실패한 것은 그가 추구한 점유율 축구의 허상이었다. 슈틸리케 감독은 부임 이후부터 ‘볼점유’에 대해 강조하며 수치 등을 언론과 선수들에게 설명하기도 했다. 항상 공을 점유해야 승리에 가까워진다는 지론을 가졌고 실제로 슈틸리케 감독은 2015 아시안컵 준우승을 차지하며 성과를 내는가 했다.

ⓒ대한축구협회
하지만 이후 2년 여간 대표팀은 라오스 등 월드컵에 나가보지 못한 아시아 약팀들과 붙으며 허울 좋은 점유율 축구만 익히며 승리했고 막상 2018 러시아 월드컵 최종예선에 들어가면서 아시아 중위권 혹은 강팀과 만나자 패배하며 한국 축구는 위기에 맞았다. 결국 중국, 카타르에 패하며 슈틸리케 감독은 경질될 수밖에 없었고 신태용 감독은 단 2경기에 한국의 월드컵 진출이 탈락할 수도 있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대표팀을 맡을 수밖에 없었다.

슈틸리케가 추구했던 점유율 축구는 아시아 약팀을 상대로는 통했지만 조금만 강한 상대를 만나도 전혀 통하지 않았다. 또한 이 축구는 전혀 계승되지도 못했고 계승할 가치도 크지 않았고 월드컵에서 한국은 철저하게 선수비 후역습의 정반대되는 경기를 펼칠 수밖에 없었다.

이는 아시아 강팀들이 가지는 딜레마이기도 하다. 월드컵전까지는 아시아에서 마음껏 지배하는 축구, 공격 축구가 가능하지만 아시아를 벗어나는 순간 수비를 중시하면서 역습에 의존하는 공격을 할 수밖에 없는 태생적 한계가 있다. 슈틸리케는 이를 간과했고 이로 인해 한국은 아시안컵 이후부터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까지 약 2년반 가량의 시간을 통하지도 않는 점유율 축구를 하느라 허비하고 말았다. 결국 슈틸리케 축구 철학은 한국에 맞지 않았고 그의 방법이 틀렸다고 결론내릴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슈틸리케의 말도, 그가 한국 축구에 입히려했던 방식도 모두 틀렸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