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성장기에 유치가 빠지면서 치열을 형성한다. 그 후 ‘제3대구치’라고 불리는 ‘사랑니’가 자라게 되며 이는 가장 늦게 나오는 치아로 큰 어금니 중 세 번째로 위치해 있다.

정상적으로 올바르게 나는 경우도 있지만 대다수가 변형된 형태로 자라게 된다. 가장 안쪽에 위치한 치아일 뿐만 아니라 어금니 뒤쪽에 자라기 때문에 양치 시 칫솔이 잘 닫지 않아 위생관리가 어려워 충치 및 치주질환의 원인이 된다. 더불어 인접 치아에 대한 점차적인 압박으로 치열의 변형은 물론 염증을 유발시켜 큰 불편을 야기하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사랑니는 그 존재를 인식하는 즉시 내원을 통해 위치와 자라고 있는 각도, 형태를 파악해 치료 계획을 설계하는 것이 좋다. 빠르면 빠를수록 환자 개인의 구강 건강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대구치는 비스듬히 나거나 매복된 형태로 자라기 때문에 주변에 악영향을 미치고, 신경과 인접해 있어 턱관절 장애, 잇몸 염증, 물혹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기적인 검진으로 대구치의 맹출 여부를 수시로 점검하고 치료를 위한 가능성을 열어 두는 것이 좋다.

다양한 사랑니의 유형 중에서도 특히 매복형으로 자라는 경우 특히나 까다롭고 어려운 치료가 진행된다. 매복 형태는 잇몸 밖으로 전부 맹출 되지 못하고 일부분, 혹은 전체를 숨기고 있어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다. 그 때문에 통증이 있더라도 원인이 명확하지 않아 치료 시기가 미뤄지는 일이 종종있다. 또한 신경 및 혈관과 인접한 사랑니의 특성으로 미루어 볼 때 매복인 경우에는 더욱 세심한 치료를 동반해야 한다.

원종동 편한마음치과 강민구 원장은 “매복인 형태는 섬세한 기술이 요구된다. 뿌리에 의해 턱뼈 신경 주행 방향이 바뀌었다면 신경이 손상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CT 영상을 통해 치아뿌리와 신경관과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신경 손상의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때에는 세심한 발치를 통해 법랑질이 포함된 머리 부분이 남지 않도록 해야 하며, 가능한 인접치가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아는 발치를 하는 것 자체도 중요하지만 사후관리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요한다. 발치 후 생긴 빈 공간에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목적으로 흡연이나 음주를 삼가는 것이 좋다. 그뿐만 아니라 상처가 아물 때까지 빨대 사용과 딱딱한 음식, 자극적인 음식들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