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차가 존재하지만, 목 안에 생기는 이물감으로 인한 '매핵기'는, 증상이 나아지는 듯해도 다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평상시보다 더 신경이 쓰이는 일이 있거나 스트레스를 받기 쉬운 환경일수록 이러한 증상이 두드러지기도 한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것은 무엇이며 왜 치료를 해도 자꾸만 재발하는 것일까?

매핵기는 하나의 신경성 증상이자 질환이라고 할 수 있다. 엄연하게 이야기하자면, 환자가 불편함을 느낄지언정 육안으로 확인되거나 보이는 증상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목의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는 실제 염증이 있거나 기관지 조직이 부어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매핵기는 이와 다르게 목 안에 이물질이 끼어있거나 상처가 난 것은 아니며, 일부러 뱉으려고 해도 잘 뱉어지지 않고 침을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이물감 증상이 계속된다.

특징으로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충격, 불안감 등 심리적으로 동요되는 상황에 놓일수록 목조임이나 이물감 등의 자각적인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는 것이다. 우리의 몸은 스트레스나 긴장감을 느끼는 상황에서 자율신경을 자극받는데 이때 자극된 신경은 체내 균형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교감신경의 활동을 더욱 부추기게 된다. 이때 목 부근의 불편함은 물론 가슴이 꽉 막힌 듯한 답답함과 짓눌림, 더부룩한 소화기관, 불면증, 손발 저림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매핵기의 경우, 당장의 증상은 호전될지라도 수시로 재발되는 경우가 많아 단발성 치료보다는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알맞은 치료가 적용되어야 한다. 신체적으로 치료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탁해졌던 혈액의 흐름을 풍성하게 유지해주면서 불필요한 노폐물 제거 및 필요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줄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의 균형을 깨지게 만드는 심리적인 요인, 잘못된 식생활습관(만성피로, 음주/흡연, 식사습관 등)을 개선하면서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한다. 전반적인 자율신경의 밸런스가 바로 잡히고 신경 순환이 원활해지면 굳어있던 호흡기 근육도 이완되면서 불편했던 증상이 조금씩 회복될 수 있다.

매핵기와 유사한 질환으로 진단되는 역류성식도염이나 인후두염, 편도선염 등 호흡기질환은 실제 염증, 상처가 있거나 기능적으로 문제가 생긴 경우이기 때문에 지레짐작으로 판단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가 필요하다.

경희숨편한한의원 서울교대점 황준호 원장은 "평상시 마음을 추스르면서 넉넉한 휴식시간을 갖고, 꾸준한 유산소 운동, 수분 섭취, 깊은 숙면을 취할 수 있는 수면환경 조성, 영양가 있는 식사 등의 규칙적인 생활패턴을 만들어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일 유전적으로 기관지가 약하고, 취약한 부분이 있다면 미리미리 검사를 받는 것도 매핵기 발생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라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