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승희가 승무를 변용해 만든 작품을 시연하는 사진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사진=연낙재
'최승희 승무 사진 공개'

"얇은 사 하이얀 고깔은/고이 접어 나빌레라" 조지훈의 '승무'로 유명한 민속 무용 승무를 추는 최승희(1911~1969)의 사진이 공개됐다.

19일 한국근대춤연구회(회장 성기숙 한국종합예술학교 교수)·춤 자료관 연낙재는 "최근 일본 근대무용의 선구자이자 최승희의 스승인 이시이 바쿠의 손자 이시이 노보루에게서 이같은 사진을 기증받았다"고 밝히며 사진을 공개했다.

사진에는 최승희가 흰 저고리에 장삼을 걸치고, 머리에는 흰 고깔을 쓰고 어깨에는 가사를 걸친 채 춤사위를 펼치는 모습이 담겨있다. 오른팔을 곧게 뻗어 늘어트린 장삼 자락 끝이 살며시 나부끼고, 오른발은 살포시 들어 승무의 형식미를 고스란히 전한다.

한국근대춤연구회 회장 성기숙 교수는 이 사진에 대해 "전통 승무의 형식미가 살아있으면서도 세련되고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전통의 현대화'의 상징적 작품"이라고 소개했다.

'신무용의 창시자'로 불리는 최승희는 1930년대 중반 일본을 방문한 '근대 전통 춤의 아버지' 한성준에게서 칼춤, 부채춤, 승무를 비롯한 전통 춤을 배웠다. 최승희는 이를 바탕으로 '화랑무', '장구춤' 등 신무용사에 기념비로 꼽힐 만한 작품을 연달아 내어놓으며 세계 무대로 진출, '동앙의 무희'로 불리며 조선이 낳은 최고의 무용수로 우뚝 섰다.

해방 이후에는 과거 일본군 위문공연에 동원당하고 일본적 소재의 춤으로 공연할 것을 당요 당한 점 때문에 친일파라는 오명을 쓰고 월북했으며, 1967년 숙청당해 1969년 사망했다.

한편 승무는 불교 의식 무용 중 법고춤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는 민속무용으로, 1969년 주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한국무용 특유의 정중동(靜中動)·동중정(動中靜)의 미학이 잘 표현된 것으로 평가받는다.

네티즌들은 "최승희 승무 사진 공개, 아름답다", "최승희 승무 사진 공개, 최승희 다른 사진과 비슷한 느낌이 난다", "최승희 승무 사진 공개, 멋지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