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남기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 논의

2025년까지 온라인 배달·로봇·키오스크 등 도입

추석 연휴를 보름 가량 앞둔 지난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 망원시장이 방문객들로 붐비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스포츠한국 임현지 기자] 전통시장에 ‘디지털’이 수혈된다. 정부가 시장 곳곳에 로봇과 키오스크, 스마트 공방 등을 보급해 코로나19 이후 소상공인 디지털 경쟁력 제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홍남기 부총리는 17일 오전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16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25년까지 온라인 배달체계 등을 갖춘 디지털 전통시장 500곳, 로봇 등을 도입한 스마트 상점 10만개, 스마트공방 1만개를 보급하겠다”며 “2022년까지 이들이 집적된 디지털상권 르네상스 시범사업도 3곳 추진한다”고 말했다.

전통시장 취약점으로 꼽혔던 결제 수단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한 지자체 조사 결과 지난해 전통시장 내 신용카드 단말기 설치 비율은 6.9%에 그쳤다. 소비자들의 지급 수단이 카드와 모바일 결제로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다.

홍 부총리는 “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해 소상공인에 키오스크·디지털 결제 단말기 20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라며 “2025년까지 중장년층 등 디지털 취약계층 맞춤형 현장실습 교육을 5만명 목표로 추진한다”고 말했다.

또 소상공인들도 디지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확충한다. 사업장 디지털화와 스마트 장비 구입, 스마트 기술 이용 촉진 등에 정책자금 4000억원을 투입하고 특례보증도 2000억원 규모로 지원할 예정이다. 소상공인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경영·상권정보를 제공하고 현재 2~4%인 결제수수료 부담을 1%대로 완화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소상공인은 우리 경제의 실핏줄과도 같은 역할을 한다”며 “앞으로도 소상공인의 중장기적 체질 개선을 위한 과제들을 지속 발굴해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