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흥진 위원(왼쪽)이 영화 '대니쉬걸'의 여주인공 알리사아 비칸더와 인터뷰 후 포즈를 취하고 있다.
영화 ‘대니쉬걸’(The Danish Girl)’로 올해 아카데미 영화제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스웨덴 출신 배우 알리시아 비칸더(27)와의 인터뷰가 지난해 토론토영화제에서 있었다. 그는 ‘대니쉬걸’에서 의학사상 최초로 지난 1931년 남자에서 여자로 성전환 수술을 받은 덴마크의 화가 아이나 베게너(에디 레드메인)의 부인으로 역시 화가인 게르다 역을 열연해 호평을 받았다..

수수한 차림을 한 비칸더는 북유럽 사람답지 않게 자그마했지만 지적인 미모의 소유자다. 마치 소녀 같았는데 예쁜 미소를 지으면서 액센트가 있는 어조로 질문에 대답하는 모습이 귀여웠다. 똘똘한 스타일로 겸손해 친근감이 갔다. 비칸더는 오는 9월에 개봉될 영화 ‘우리들 사이의 빛’(The Light Between Us)에서 공연한 연기파 마이클 파스벤더와 사랑이 싹이 터 현재 열애 중이다.

-에디 레드메인과 공연한 경험이 어땠는가. “에디가 극중에서 성전환 수술을 받고 아이나에서 릴리로 변한 모습을 찍은 사진을 보고 놀라웠을 따름이다. 내가 카메라 테스트를 받기 위해 처음에는 잠깐 아이나로 분장한 에디와 함께 몇 장면을 찍었다. 이어 난 잠시 분장실에 들러 의상을 갈아입고 다시 테스트장에 나가 에디를 찾았으나 그는 간 곳이 없었다. 조금 있어서야 난 에디가 릴리로 변해 내 앞에 서 있는 것을 깨달았다. 영화를 만들기 전부터 에디는 그렇게 극단적으로 최선을 다 하는 배우다. 그는 참으로 멋있고 민감하며 또 아름다운 사람이다. 그가 처음에 여자가 됐을 때 다소 불편해 하는 연기와 차차 여성적인 것에 익숙해지면서 보여주는 후반 연기를 보면 그가 얼마나 출중한 연기자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정말로 아름답고 자연스러운 연기다.”

-영화는 정체성의 얘기인데 당신은 여성으로서의 자신의 정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나는 여자라는 존재로서 내 정체성을 알면서 성장했다. 그러나 이런 성의 정체성이란 어느 정도 유동적이라고 생각한다. 성전환자들이 그들의 정체성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는가는 나의 그것과 범주가 달라 확실히 알 수는 없지만 그들이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만은 안다. 다행히 나는 내가 편하게 느끼는 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그러나 솔직히 말해 무엇이 분명한 남자이며 또 여자인가를 지적하라면 쉽게 되질 않는다.”

-요즘 여자들이 자신들의 여성적인 성향을 거부하려는 경향이 있는 것 같은데. “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어떤 성을 지녔든지 스스로가 순수하고 자기에게 진실하다면 그 때가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남에게도 가장 강할 수가 있다. 모두 자기 자신의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또 그것을 서슴없이 공개할 때 강해질 수 있다.”

-패션이 영화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데 당신의 패션은 어떤가. “난 통상 패션을 그냥 편안하게 여기며 산다. 그러나 영화에서의 패션은 일종의 감정표현의 한 수단이다. 에디와 내가 서로 맡은 인물에 대해 연구했을 때 우리는 그들이 패션에 있어 매우 표현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둘 다 예술가여서 그랬을 것이다. 그들은 패션에서 시대를 앞서간 사람들이었다.

-당신은 불과 3년 만에 스타가 됐는데 느낌이 어떤가. “정말로 많은 일이 그 사이에 일어났다. 정신 없이 분주했는데 난 지금도 그런 일이 믿어지지가 않아 날 꼬집기도 한다. 스크린에서 보면서 만나서 내 사랑을 표시하고 싶었던 에디와 톰 후퍼 감독과 함께 일할 수 있는 특권을 누릴 줄 누가 알았겠는가.”

-갑자기 찾아온 명성에 어떻게 대처하는가. “난 인생과 직업 모두에서 아직 어리지만 스스로를 지킬 줄 알며 또 정신적으로 그것에 대처할 준비가 돼 있다. 이렇게 언론과 만나는 것도 새로운 일이어서 신경이 쓰이지만 머리 안에서는 준비가 다 돼 있다.”

-일을 안 할 때는 무엇을 하는가. “런던에 아파트를 샀기 때문에 지금 부엌을 새로 단장하고 있다. 그래서 공항에 갈 때마다 실내장식 잡지들을 사는데 지금 20여권이 있다. 부엌 디자인이 지금 내게 있어 하나의 집념처럼 되었다.”

-고국에서 영화를 찍을 생각은 없는가. “물론 있다. 고국에서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들이 있다. 난 모든 가능성을 열어 놓고 있다. 작품만 좋다면 할리우드 스튜디오 영화나 스웨덴 영화를 막론하고 찍을 용의가 있다.”

-당신은 영혼의 반려자라는 것을 믿는가. 그런 사람 만났는지. “그것을 믿고 싶다. 이 영화의 두 주인공이 바로 그런 사람들이라고 각본을 읽었을 때 느꼈다. 만나는 즉시 연결되는 사람들이다. 나와 그렇게 즉각적으로 연결이 될 사람은 서로가 동등해야만 한다.”

-게르다는 매우 강한 여자인데 그런 역을 한 소감은. “내가 진실로 존경하는 사람의 역을 한 것이야말로 특혜다. 그가 받는 고통과 어려움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들이 살았던 때는 그런 문제를 남들과 얘기할 수도 없던 때여서 둘의 어려움은 매우 지독한 것이었다. 그런데도 게르다는 남편에게서 릴리를 발견하고 그를 적극적으로 도왔다. 릴리의 변신이야말로 이기적이라고도 하겠는데 게르다는 그래도 남편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참으로 존경할 만한 일이다.”

-무엇이 당신을 행복하게 하는가. “친구와 가족들과 함께 있는 것과 여행이다.”

-할리우드에서 사는 기분이 어떤가. “고국에서 일할 때와 매우 다른 것이 사실이다. 특히 스튜디오영화에 나왔을 때와 인디 영화에 나왔을 때 언론이 대하는 태도가 아주 다르다. 그러나 일에 있어서는 둘이 다를 것이 없다.”

-할리우드에서 당신이 발견한 가장 놀라운 점은 무엇인가. “유럽 영화에서보다 모든 면에서 인원과 규모가 엄청나게 크다는 것 외엔 영화 만드는 일은 다 비슷하다.” 박흥진 미주한국일보 편집위원 겸 할리우드 외신기자협회 회원 hjpark1230@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