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스포츠한국 길준영 기자] K리그1·2(1·2부리그)가 내년 3월부터 22개 구단의 구체적인 재정 현황을 공개하기로 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8일 “각 구단의 적자경영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형 재정적 페어플레이(FFP·Financial Fair Play)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면서 “FFP 도입에 앞서 내년부터 구단별 재정 현황을 공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현재 경영공시 시스템에서는 구단의 구체적인 수입·지출 지표를 확인할 수 없다.

내년부터는 각 구단의 스폰서십 수입,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지원금, 선수 이적료, 선수단 인건비, 운영비, 일반 관리비, 유소년 클럽 운영비, 마케팅 비용 등 세부적인 유동성 흐름을 확인할 수 있게된다.

연맹은 구단들의 비정상적인 운영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생각에 재정 현황을 전격적으로 공개하기로 했다.

현재 K리그의 시·도민 구단은 입장권·기획(MD)상품 판매, 스폰서십 등 자생적인 수입원보다 지자체 지원금에 기대고 있다.

지난 시즌 K리그의 수입에서 지차체 지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K리그1 12개 구단은 13%, K리그2 10개 구단은 48%였다. 기업 구단을 제외하면 지자체 지원금 비율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자체 지원 비율이 높다 보니 구단들이 정치적 이슈에 흔들리는 경우가 많았다.

시장·도지사가 바뀔 때마다 구단 대표이사 등 구단 수뇌부가 교체되는 일이 부지기수였다. 구단 운영 방향도 크게 바뀌는 경우가 많았다.

연맹은 이에 구단별 수입과 지출 내역을 공개해 잘못된 부분을 정상화하고 장기적으로는 FFP 제도를 도입해 정상적인 경영 흐름을 유도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연맹 관계자는 “구단의 수입원을 다양화하고 선수단 인건비 비중을 낮추는데 연맹이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FFP는 유럽축구연맹(UEFA)에서 유럽 축구클럽들의 만성적인 적자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011년부터 실시한 제도다.

이적료나 연봉 등 인건비로 지출하는 금액이 클럽 수익의 일정 비율 이상으로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핵심이다.

한국형 FFP는 유럽 FFP의 취지를 따왔지만 지향하는 목표는 다르다.

연맹 관계자는 “한국형 FFP는 투자 경쟁을 제한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라며 “적자경영 방지가 가장 큰 목표”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재정 현황을 공개한 뒤, 이를 기반으로 연맹 차원에서 구단별 경영 컨설팅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후엔 적자경영 방지에 초점을 맞춰 합당한 패널티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예를 들어 수년간 계속해서 적자를 내거나 누적 적자액이 기준치 이상을 기록하면 해당 구단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식이다.

다만 FFP의 시행 시기와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밝히지 않았다.

한편 연맹은 이날 2017년 K리그의 수입·지출 현황도 공개했다.

입장 수입은 K리그1·2 22개 구단의 수입 비중에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K리그1는 4%, K리그2에서는 3%에 그쳤다.

K리그1 12개 구단은 지난해 평균 199억8000만원의 수입을 거뒀다. 그중 스폰서십(64%) 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지자체 지원금(13%), 선수 이적료(11%) 순이었다.

K리그2 10개 구단의 경우 지자체 지원금(48%)이 가장 높았고 스폰서십(31%), 선수 이적료(9%) 순이었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