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한국 이재호 기자] 성사만 된다면 올림픽 역사에 이런 올림픽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1년, 아니 1개월 후도 모르는 남북 정세에서 13년 후를 예단하기란 불가능하다.

게다가 인천 아시안게임, 평창 올림픽을 통해 스포츠 대회에 대해 피로감이 쌓인 국민들과 막대한 예산 처리도 걱정이다.

서울과 평양이 함께하는 2032 올림픽은 정말 유치될 수 있을까.

연합뉴스 제공
대한체육회는 11일 충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서 정기 대의원총회를 열어 동·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 대의원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49표중 과반인 34표를 얻을 서울을 2032년 하계올림픽 유치 신청 도시로 선정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해 9월 19일 평양에서 발표한 평양 공동선언에서 2032년 하계올림픽 공동 개최를 추진하기로 합의한 것에 잇따른 조치다.

박원순 서울 시장과 오거돈 부산 시장이 프리젠테이션까지 펼치며 대의원 설득에 나섰고 결국 상징성과 인프라면에서 우수한 서울이 선정됐다. 사실상 평양으로 확정된 북한쪽과 함께 올림픽 공동 유치 신청도시로써 1988 서울 올림픽 이후 44년만에 올림픽 재개최를 노리게 됐다.

▶현실 가능성은?

하지만 가장 먼저 의문이 드는 것은 서울과 평양의 공동 개최가 가능하냐는 것이다. 남북한의 정세가 최고조일때도 실현이 가능할지 의문스러운 올림픽이 과연 13년안에 상상 이상으로 더 좋아질 수 있는지가 문제다.

당장 한국에서 정권이 바뀌거나 북한에 대한 태도 변화, 전쟁 위험, 핵 위험 등이 뒤따른다면 공동 개최는 실현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당장 보수 정권이었던 이명박-박근혜 정권때 북한과 얼마나 사이가 냉담했는지 알 수 있고 지금의 화해무드로 온지 고작 2년여밖에 되지 않았다.

물론 나은 미래만 상상할 수 있지만 남북 정세라는 것이 단지 남북만의 의지만으로 쉽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더욱 불안하다. 당장 1994년 김영삼-김정일의 남북 회담이 이뤄진다는 소식이 알려졌을때만 해도 모두가 통일이 되는줄 알았지만 25년 동안 남북 관계는 세계 그 어떤 나라의 관계보다 역동적이었다.

바로 남북관계의 안정성 확보 없이는 기본적으로 서울과 평양의 2032 올림픽 개최는 불가능할 수밖에 없다.

연합뉴스 제공
▶막대한 예산, 인천 AG-평창 동계로 쌓인 피로감

올림픽은 월드컵처럼 단일 종목이 열리는 대회가 아닌 사실상 하계 스포츠 전종목이 열리기에 많은 경기장과 제반시설,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물론 서울은 1988 서울 올림픽을 치렀지만 2032년에는 개보수가 필요할 수밖에 없다.

서울시가 작년 12월 시의회에 제출한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 공동 개최 유치 동의안'에 따르면 2032년 7∼8월 중 서울·평양 및 한반도 전역에서 15일간 33종목을 치르려면 남측 예산만 3조8570억원이 필요하다. 이 중 서울시가 1조1571억원(30%)을 부담하고, 조직위원회가 1조5428억원(40%), 중앙정부가 1조1571억원(30%)을 각각 부담한다.

엄청난 금액이 투자되는데 평양의 기반시설이 매우 취약하기에 남한에서 일정정도의 지원까지 보태진다면 그 액수는 더 커질 수밖에 없다.

가뜩이나 쓰지도 않는 수많은 경기장을 남긴 2014 인천 아시안게임과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이후 국민들은 스포츠 대회 개최에 큰 피로감을 안고 있다. 물론 2032년은 좀 더 먼 미래지만 전세계적으로 스포츠 대회 개최가 국가 재정에 큰 악영향을 끼쳐 꺼려하는 추세라는 점에서 시대를 역행하는 서울-평양 올림픽 개최가 되지 않을까 우려를 사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