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
[스포츠한국 전영민 기자]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 선수단의 개막식 공동입장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는 최근 고위급 회담 지원을 위한 ‘실무전담팀’을 구성했다. 실무전담팀은 전병극 문체부 체력협력관을 필두로 대한체육회,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 평창 동계패럴림픽 조직위의 실무자들이 참가했다.

실무전담팀은 고위급 회담 기간에 북측에 제안할 의제와 세부적인 준비 사항을 고려하고 있다.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가 확정되면 개막식 공동입장과 남북 단일팀 구성 등의 현안을 실무 차원에서 준비할 생각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북한의 평창동계올림픽 참가에 대비해 필요한 사항들을 체크해 왔다"며 "북한이 국내 종합대회에 출전했던 지난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과 2003년 대구 하계유니버시아드 때의 매뉴얼을 준용해 차질이 없도록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남북은 2000년 시드니 하계올림픽을 시작으로 2002년 부산 하계아시안게임, 2003년 아오모리 동계아시안게임과 대구하계유니버시아드, 2004년 아테네 하계올림픽, 2005년 마카오 동아시안게임,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과 도하 하계아시안게임, 2007년 창춘 동계아시안게임까지 총 9차례 개막식 공동입장을 했다.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남북 선수단 공동입장이 성사되면 2007 창춘 동계아시안게임 이후 11년 만이자 10번째 남북 공동입장이다.

남북 공동입장이 성사되기 위해서는 남북의 의지뿐 아니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선택이 관건이다. 국제올림픽위원회의 선택에 따라 북측의 참가 선수와 선수단 규모가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올림픽 참가 자격을 얻지 못한 북한 선수들에게 몇 장의 특별출전권(와일드카드)를 줄지 결정돼야 양측 선수단의 규모와 기수까지 논의할 수 있다. 남측 선수단은 약 250여 명의 역대 최대 규모지만 북한은 최대 10명만을 파견하기 때문.

북측의 참가 선수와 선수단 규모가 결정되면 개막식 남북 공동입장은 2006년 토리노 동계올림픽의 전례를 따를 전망이다. 남북이 총 9번 공동입장했던 전례 중 유일한 동계올림픽이기 때문. 당시 남북 선수단 56명(남측 44명, 북측 12명)은 토리노 대회 개막식에서 한반도기를 앞세워 함께 행진을 했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