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코리아 제공
[스포츠한국 박대웅 기자] KBL이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제도를 한층 강화했다. 반드시 필요한 조치이지만 실효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의문점을 남기는 것도 사실이다.

KBL은 지난 29일 논현동 KBL 센터에서 불법도박 및 승부조작 의혹과 관련된 기자회견을 개최, 전창진 감독에 대한 자체 심의에 들어가겠다는 입장과 함께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6가지 대책을 제시했다.

KBL의 이번 기자회견 시점이 수사에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사실 전 감독에 대한 법적 수사가 마무리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에 관련 규약만을 놓고서 자체 심의에 들어가겠다는 KBL의 이번 결정은 비교적 신속하고 과감했다.

그러나 규약 제17조(최강의 선수 기용) ‘구단은 공식경기에 임할 때 최강의 선수를 기용하여 최선의 경기를 하도록 하여야 한다’와 같은 항목이 전 감독의 지도자 자격 여부를 심의하는데 있어 적절한 판단 기준이 될 수 있느냐에 대해서는 논란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정규시즌 54경기의 장기 레이스를 펼치는 프로농구의 특성상 대다수의 감독들은 승부가 기울어졌다고 판단되는 경기 막판 주전 선수들의 체력 비축을 위해 후보 선수를 대거 투입한다. 엄밀히 말하면 당일 경기에 대한 포기의 의미도 담겨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궁극적으로 시즌 전체를 놓고 봤을 때에는 팀에 득이 되기 때문에 내리는 결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향후 KBL이 이같은 모습에 대해 감독 설명회 등을 열도록 할 경우 각 팀 사령탑들의 경기 운용 방식을 침해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이미 심각한 수준에 도달한 주전 의존도가 앞으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또한 ‘최강의 선수’, ‘최선의 경기’라는 용어부터가 이미 기준선이 모호하며, 이를 판별하는 과정에서도 형평성의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 김영기 총재는 관련 규약을 더욱 구체화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이와 관련해 명확한 기준을 세운다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각 감독들이 나름의 이유를 통해 충분히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승부조작 근절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 지도 의문이다.

불법행위 근절을 위한 6가지 제도 강화 방안 역시 개혁의 의지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손을 놓고 있는 것보다는 훨씬 나은 대처였지만 여전히 핵심을 비껴간다는 인상을 지우기 어렵다.

김영기 총재가 언급한 ▲ KBL 윤리 강령 제정 시행 ▲ ‘팬 모니터링’ 제도 도입 ▲ ‘연대 책임제’ 도입 검토 ▲ 불법행위 예방 교육 및 홍보 강화 ▲ ‘클린바스켓’ 활성화 ▲ 구단별 ‘자정 캠페인 시행’ 등의 방안 중 일부는 기존에도 존재했던 것에 대한 수위를 다소 높인 정도에 지나지 않으며, 또다른 일부 방안들 역시 교과서에서나 볼 수 있을 형식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에 그쳐있다.

이미 2년 전 강동희 감독의 승부조작 개입이 확인됐을 때에도 KBL은 승부조작 재발을 방지하고 투명한 프로농구를 실현하기 위해 자진 신고 포상제를 강화했지만 또다시 전창진 감독이 진위 여부를 떠나 불법도박 및 승부조작 의혹에 연루되고 말았다. 불법 도박 운영자 및 브로커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는 방안, 선수 및 코칭스태프에게 보다 확실한 경각심을 일깨워줄 대책 마련이 사건 발생 직후만이 아닌 사건 예방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이미 KBL은 유사한 사례로 팬들 앞에 두 번이나 고개를 숙였다.

저작권자 © 스포츠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